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권수비 공식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온라인강의
글쓴이 등록일 2024.06.16 답변상태 답변완료
  • 권수비 a 공식에서 V1/V2 인데, 이때 V1=무부하 1차측 전압, V2=부하 2차측 전압 이여도 가능한가요?

    문제에서 권수비를 계산할 때 V1=무부하 1차측 전압, V2=무부하 2차측 전압  혹은 V1=부하 1차측 전압, V2=부하 2차측 전압으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즉, 권수비를 구할 때 전압이 무부하 전압끼리 계산하거나, 부하 전압끼리 계산하는 게 아닌,  권수비를 구할 때 무부하 전압과 부하 전압을 함께 대입 해도 계산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1차측 무부하전압과, 2차측 무부하 전압과 권선비(권수비)를 이용해서 V1을 구한 문제입니다.

    (V1= 1차측 무부하 전압, V20= 2차측 무부하전압)

    V1=권선비 20 * V20 117.3 = 2346 v

  • 학습관리자 |(2024.06.19 17:16)

    안녕하세요~~ 회원님^^

    변압기는 부하가 항상 2차측에 접속하기 때문에 전부하와 무부하는 변압기 2차측에 적용하는 표현입니다. 이 때 전부하일 때와 무부하일 때 변압기 2차측 단자의 전압의 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전압의 차에 대한 개념을 전압변동률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압변동률이 발생할 때 당연히 변압기 1차측의 전압도 변화하기 때문에~

    본 문제에서 변압기 2차 전부하 전압과 전압변동률이 주어진 경우는 변압기 1차 단자전압이 무부하일 때 의 전압을 구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2차측 무부하 단자전압을 구한 다음 권수비를 적용하여 1차 단자전압으로 환산한 값으로 계산하셔야 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