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1. 1차측 전압이 22.9kv이면 1차측 피뢰기 정격전압은 18kv, 공칭방전전류는 2.5ka로 알고 있습니다.
1차측이 50kv 이상(예를들면 154KV)이고, 2차측이 22.9kv이면, 1차측 피뢰기 정격전압은 144kV(공칭전압: 154kV일때), 공칭방전전류는 10KA(154kV계통). 2차측 피뢰기 정격전압은 21kv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때 2차측 공칭방전전류는 2.5ka 인가요?
즉 2차측 피뢰기 정격은 21kV, 2.5kA 인가요?
질문2) 문제에서 '변전소 1차측 전압이 22.9kv' 라고 적혀 있으면, 이때는 50kV 이상만 변전소로 취급한다는 설정과 상관없이 변전소에 대한 피뢰기 정격 전압 21kV, 변전소 공칭 방전전류 2.5kA라고 적어야 하는건가요?


질문3) COS ( ) 괄호 답 (비대칭 차단전류 10ka 이상의 것), 케이블 답 괄호 (난연) 포함해서 적어야 정답이죠?


질문4) 단로기나 개폐기 심벌은 직선 부분과 직선에 반원 부분이 있는 것 둘 다 사용하는 건가요?

질문5) 퓨즈 저 모양은 저압, 고압 둘다 가능하고, 특고압만 사용 못하는 심벌인가요?

이 문제에서 7번 정답 명칭은 '전력 퓨즈', 8번 명칭은 '개폐기'라고 적혀 있습니다.
전력 퓨즈는 저 박스모양이 아니라 COS 심벌과 같이 sin파 모양인데, 저 박스형 퓨즈가 가능한건, 저압, 고압용이라서 그런건가요? (3.3kv는 고압)
COS 심벌도 박스형 퓨즈 심벌로 표현이 가능한가요?

그렇다면 이 sin파 모양 심벌은 저압, 고압, 특고압 모두 사용이 가능한가요?
8번 개폐기 심벌도 원래는 단로기처럼 직선모양 작대기 모양인 심벌로 알고 있었는데, 직선 끝부분에 반원이 추가 되어 있어서 개폐기 심벌 종류가 2개인지 질문드렸습니다.
질문6) 펌프용 모터 및 GPT 단선 결선도 문제에서 문제 개폐기 용도에 답지는
'전동기의 기동 정지'라고 적혀있는데, 혹시 답을 '모터의 기동, 정지.'라고 적어도 될까요?
전동기-> 모터, 기동 정지 -> 기동, 정지.
기동 정지가 네이버 사전에 찾아보니까 아예 한 단어로 나오던데, 전동기 On, off 를 의미하는 거면 쉼표를 넣어서
기동, 정지 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