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콘덴서 내압 계산
질문유형 기타문의 > 기타사항
글쓴이 박*한 등록일 2025.01.08 답변상태 답변완료
  • 콘덴서 내압 계산 파트에서

    a,b점 사이에 직렬c1, 병렬로 연결된 c2,c3가 있고 c1과 c2,c3의 내전압이 주어졌을 때, ab사이에 가할 수 있는 전압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c1=40f, c2=20f, c3=12f, c1의 내전압이 100v, c2,c3의 내전압이 150v)

    병렬로 연결됐기 때문에 c23을 구하고 나서 q1과 q23을 구하는것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왜 계산한 q1과 q2의 전하량이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콘덴서 직렬연결시 전하량은 q=q1=q2=c1v1=c2v2=cv라고 이론부분에 적혀있는데 다르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계산한 q1이 q23보다 값이 낮아서 최대전하량은 q1이라고 하는것도 이해가 안갑니다...

    콘덴서의 용량때문에 최대치라고 넘어간다고 해도 그러면 q=q2=c2v2여야 하는데 반대로 구하면 문제에서 주어진 정전용량과 전압이 나오지 않아서... 

    앞뒤가 맞지가 않아서 뭘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 학습관리자 |(2025.01.08 16:13)

    안녕하세요~~ 회원님^^

    콘덴서의 내전압이란 콘덴서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전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내압계산 문제를 풀때에는 내압이 항상 공급된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단지 콘덴서의 내압으로 내대 전하량을 구하여야 하며, 그 전하량이 직렬이라 해서 같다고 생각하시면 안되겠죠.. 왜냐하면 콘덴서 각각의 내압 특성은 다를테니...

    각 콘덴서의 최대 전하를 구하고(병렬일 때에는 합성 전하량으로 구하기) 이 중 전하량이 작은 값이 회로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하량임을 알고 그 값을 대입하여 최대 공급 가능한 전압을 계산하시면 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