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전기기기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필기 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문*현 등록일 2025.01.2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왜 답변이 안달리는지 궁금합니다.

  • 이승원 |(2025.01.23 15:38)

    안녕하세요~~ 회원님^^

    중권과 파권은 강의시간에도 설명을 해 드렸습니다~

    중권은 병렬권의 다른 표현이고 파권은 직렬권의 다른 표현입니다. 따라서 중권은 병렬회로를 극수만큼 많게 권선하며, 파권은 병렬회로를 최소로 권선하기 위해서 병렬회로를 2개로 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병렬권은 각 전기자 권선이 전기자 전류를 발생하여 병렬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하면 전류가 증가되는 특징을 갖게 됩니다~

    또한 파권은 전기자 권선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어 각 전기자 권선이 유기기전력을 발생하며 그 권선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면 그 합이 전체 기전력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중권은 대전류를 발생시키고, 파권은 고전압을 유도하게 됩니다.

    균압접속은 단자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등전위도체로서 중권에서는 전기자 권선이 병렬로 접속되어 전압 불균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각 병렬회로의 단자전압이 다를 경우) 이 전압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압접속을 해 주어야 합니다.

    중권은 a=p와 같게 하는 이유가 특별히 이렇기 때문이다라는 이유가 있는것이 아니라 병렬회로수를 무작정 많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극수에 맞춰 제작하게 된 것이며, 파권은 병렬회로의 최소치로 2개 제작한 것입니다.

    직류발전기의 구조는 브러시의 위치(중성축)에 놓인 도체에는 기전력이 0[V]이기 때문에 리액턴스 전압이 나타나지 않지만 전기자반작용으로 중성축이 이동하게 되면 중성축에 놓인 도체에 전압이 나타나게 되고 이 도체와 정류자를 접속하는 코일에 전압이 생기게 되어 리액턴스 전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전압으로 정류자에 불꽃이 발생하게 되고(전류의 급격한 변화 순간에 이랙턴스 전압의 과대로 불꽃 발생) 이 불꽃이 정류자에 영향을 줌으로서 정류가 나빠지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전기자반작용의 거의 대부분은 교차자화작용으로서 β 각 범위 내의 도체에 의해서 발생하게 되므로 이 부분의 전기자 전류에 의한 자속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보상권선을 계자극 표면에 설치하여 전기자 전류의 반대방향으로 흘려줌으로서 교차기자력을 상쇄시켜 줍니다. 그리고 α 각 범위 내에 있는 도체는 감자작용을 만드는데 이 작용을 없애기 위해서 보극을 설치하며 보극은 중성축에 나란히 접속되어 위에서 설명한 리액턴스 전압에 직접 영향을 주게되기 때문에 정류작용에 더 좋은 효과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전기기기 과목이 보이지도 않는 기기의 내부 특성을 설명해야 하는 과목이다 보니 매우 어려운 과목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회원님의 궁금증을 해소시켜드리지 못한 강의였다고 하니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일단 궁금하신 점들은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최대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