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상태공간해석에서 x(도트)=Ax+Bu 형태로 전개되는 방정식을 상태방정식이라 호칭합니다. 그리고 파이t, x(0) 등으로 표현되는 행렬은 초기상태의 벡터를 포함하는 상태천이행렬의 표현입니다. 상태방정식의 행렬은 A, B 행렬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 되며 상태천이행렬은 역행렬의 역라플라스변환을 통하여 시간함수로의 표현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강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태천이행렬을 유도하는 문제는 매우 어렵다고 말씀 드린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역행렬의 역라플라스를 2차 정방행렬의 경우 4가지의 풀이로 답이 유도되기 때문에 시간도 많이 소요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행렬과 역라플라스 변환에 자신이 있으시면 학습하시는 것을 권해 드리지만 어려운 상황이시라면 상태천이행렬의 성질만 정리하셔서 암기하시기를 권합니다.
그럼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