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을 올렸었는데
답변을
근궤적은 제어계의 특성방정식의 근의 이동궤적을 도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한대~+무한대 범위를 도시하는 근궤적을 완전근궤적이라 합니다.
이 중에서 +무한대의 범위를 일반적인 근궤적이라 하며 -무한대의 범위를 대응근궤적이라 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근궤적이라 함은 +무한대의 범위인 일반근궤적을 의미하므로 따로 K의 범위를 주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무한대의 범위를 가르키는 일반 근궤적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열공하세요^^
이렇게 달아주셨거든요!!
근데 답변이 잘이해가 안가서요 ㅠㅠ
그러면 강의처럼 rl과 crl의 위치는 바뀔수있지만 범위에 따라 홀짝이 다르니까
홀수번째는rl, 짝수번째는 crl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결국 위아래 그림이 전부 다 맞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