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험생님. 김민혁 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1. 2-26쪽에 코로나 임계전압에서 로그안에 r과 식의 d는 신경쓰지말라고 하셨는
데 그러면 만약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문제를 풀때에도 r과 d는 동일한 값인가요??
로그 통채로 보라고 말씀하셨긴한데 그냥 단순히 그 차이가 뭔지 궁금해서 질문드
립니다.
답변 : 먼저, 계산문제는 한번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너무 염려 안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로그의 성질 때문에 그렇습니다. 계속 D/r를 증가 시키다 보면
포화상태가 되어 거의 상수가 됩니다. 하여, 크게 영향이 없다는 뜻입니다.
2. 17강에서 가선금구 설명하시는 부분 27분 40초 쯤에서
강사님께서는 "삼각형의 쇳덩어리가 있을때 뾰족한 부분의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
방전이 많이 발생한다" 라고 하셨는데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으면 코로나현상이 일어
나지않아 방전이 적게 발생하는것아닌가요?
답변 : 코로나 임계전압이 낮아져 방전이 발생한다가 맞습니다. 저도 강의를
하다보면, 말하고 생각이 따로 나올때가....죄송합니다.^^
삼각형의 쇳덩어리를 삼각요크라고 합니다.^^
3. 교재2-40에 단거리 송전선로에 L로 표기되어있는데
유도성 리액턴스인 X로 고쳐야하는건가요? 오타맞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 우리가 L 이라고 표현하면 유도성리액턴스라고 알아 보는 것이기 때문에
간단히 소자로 말할때에는 L로 표기 하는 것입니다.
회로이론에서도 R-L 직렬회로 라고 표현하지요? 이해 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
다.^^
4. 교재2-40에 전압강하식 정리 중에 I=P/루뜨3*V*Cos세타
이공식은 어디서 배운 공식인지 알려주세요
답변 : 회로이론에서 3상 교류전력에서 나오는 공식입니다.^^
5.교재2-40에 4.전력손실 설명중 갑자기 전선의 중량 w와의 v^2과 cos세타^2의
관계를 말씀해주셨는데 중량은 어디서 튀어나온건지 혼란스럽습니다...(마지막에
왜 단면적A대신 W를 넣어서 이해하라는건지도 모르겠구요ㅜㅠ)
전력손실 공식상에서는 중량을 확인할 수 없는데 어떻게 비례반비례관계를 알아낸
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 전선의 단면적과 중량은 어떤 관계 일까요? 전선의 단면적이 커지면
중량은 더욱더 무거워 지겠지요? 바로 전선의 단면적은 중량과 비례하는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김민혁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