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아래 설명을 참고하시면 이해될것으로 보입니다.
섹쇼날라이저(sectionalizer)의 내용입니다.
다중접지 특고압배전선로용 보호창치의 일종으로 주상에 설치 사용되나 고장전류를 직접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후비에 반드시 차단기(보호계전기 포함) 또는 recloser 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보호장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선로의 고장기간 중 후비보호 장치가 동작하는 횟수를 sectionalizer가 기억하였다가 미리 정정한 횟수가 되면 후비보호 장치에 의하여 무전압이 된 순간에 접점을 개방한다. 따라서 sectionalizer는 한시동작 특성이 없으며 3회까지 조정가능한 동작회수 특성만으로서 보호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sectionalizer에는 단상과 3상형이 있으며 이의 제어를 유압에 의하는 것과 전자계수장치에 의하는 것이 있으나 3상의 전자식절연유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sectionalizer를 설치할 때는 설치위치의 선정, 정격선정, 동작횟수의 조정, 기억시간의 선택 등을 설치지침에 의거 시행하여야 효과적인 보호협조를 기할 수 있다.
선로개폐기의 내용입니다.
LS ( Line switch : 선로개폐기 )
선로 개폐기는 보안상 책임 분계점에서 보수 점검시 전로를 개폐하기 위해 시설하는 것으로 반드시 무부하 상태에서 개방해야 하며, 단로기와 비슷한 용도를 사용한다.
근래에는 LS 대신 ASS를 사용하며, 22.9㎸-Y 계통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66㎸ 이상의 경우에는 LS를 사용한다.(300㎸A 이하의 경우에는 기중부하개폐기(IS)를 사용한다).
자동고장구분개폐기의 설치 장소(ASS AISS)
특고압 정식수전설비의 주개폐기로 단로기(DS) 대신 자동고장구분개폐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수전용량 7,000 kVA 초과시는 Sectionalizer를 설치
2) 66 kV 이상의 경우에는 라인스위치(LS)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