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1장 전기설비설계 출제예상문제 40선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단기완성 종합반 > 홍성민
글쓴이 김*석 등록일 2018.05.11 답변상태 답변완료
  • 문제 9번 (2)에서 고압간선에 걸리는 최대부하를 구하라되있는데, 최대부하를 구하란게 어떤걸 구하란건지 궁금합니다. 풀이를 봐도 어떤걸 구한건지 모르겠어요

     

    문제 14번에서 변압기 최소용량을 구하라되있는데, 수용률*설비용량 / 부등률 * 역률 식으로 구하지 않고,  풀이에서는 유효분이랑 무효분을 따로구해서 풀어놨는데, 수용률*설비용량 / 부등률 * 역률 식으로 동력부하, 전등, 전열기의 용량을 모두 따로 구하고 더하면 변압기 용량이 되는게 아닌가요? 이렇게 풀면 답이 240KVA로 다르게 나와서요

     

    문제29번에서 펌프용 전동기 소요 동력 구할 때, K*Q*H/6.12*효율 식으로 푼거랑 풀이처럼 9.8*K*Q*H/효율 로 푼거랑 답이 소수점에서 약간 다른데, 6.12들어간 식으로 풀어서 소수점이 다르게 나와도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

     

    문제33번에서 (1)은 그냥 암기하는 건가요?? 그리고 (2)에서 케이블 굵기 구할 때, 왜 분모의 허용전압강하자리에 220*0.07이 들어가는지 모르겠어요ㅠ

     

    문제36번에 축전지 용량구할 때, C=1/L * KI 식에서 풀이에 I값이 왜 저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홍성민 |(2018.05.11 16:55)

    안녕하세요. 홍쌤입니다.

    1. 이문제에서 간선은 A군과 B군으로 분기되기전 가장위의 선을 간선이라합니다. 이문제에서 간선에 걸리는 최대부하는 특정 어느 한부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A,B군의 합성 최대전력을 뜻합니다. 그래서 풀이에서 각 군의 최대용량의 합을 부등률로 나누어 전체 합성최대전력을 구한것입니다.

    2. 역률이 다른 용량이나 전류를 합성해서 피상값을 구하고자 할 때는 단순 피상값들의 합으로 구하면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역률이 다른 용량이나 전류를 합성할 때는 정확한 피상값을 얻기위해 유효분과 무효분으로 구분하여 유효는 유효끼리 무효는 무효끼리 합성하여 절대값을 구해야 합니다.

     

    3. 6.12가 들어간 공식을 써서 풀이 했을 때 발생하는 소수점의 차이는 상관이 없습니다.

     

    4. 전선의 굵기를 구하는 공식 중 각 전기방식에 따라 숫자가 변하는 공식인 A=[(**.*)LI/1000e]에서 전압강하 e는 대지간전압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공식입니다. 그래서 단상3선식과 3상4선식의 경우 전압을 중성선과 다른선에 걸리는 전압을 기준으로 전압강하를 구합니다. 단, 이공식에서만 이렇게 됩니다.

    3상4선식에서 380[V]은 선간전압으로 상전압이 220[V]라는건 상식으로 알고 계셔야 합니다. 그래서 220*0.07로 계산하게 됩니다.

     

    5. I값이 왜 저렇게 되냐가 아니라 축전지에 부하를 걸면 전류가 흐르고 부하의 ㅌ크기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때 시간에 따라 부하가 변해 전류가 달라진것을 주어진것 뿐입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