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첫번째 질문의 답입니다.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블록을 만들어서 블록간 접속을 따로 한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P00과 P01은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기 위해 STR, OR로 바로 접속을 하였고 다시 P02와 P03을 하나의 블록으로 따로 접속하기 위해서 STR NOT, OR로 접속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블록간 접속을 위해 AND STR로 나중에 묶는 것입니다.
두번째 질문의 답입니다.
접점 1은 하나의 블록이므로 STR 로 입력하고 다음 접점인 2, 3은 또다른 블록을 만들기 위해서 새롭게 STR NOT, AND로 접속하였습니다. 다음은 접점 4번도 하나의 블록으로 입력하여 STR로 입력하고 그다음 접점 5, 6, 7, 은 마지막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기 위해 STR, AND NOT, OR NOT로 입력하였습니다. 블록은 미접속된 상태로 프로그램이 완성되어 있기때문에 마지막으로 블록간 접속을 위하여 뒤에서부터 차근차근 묶어가시면 됩니다.
세번째 질문의 답변입니다.
접점 15, 16은 하나의 블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STR, OR로 입력하였고 다은 접점인 15, 16은 또다른 블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따로 STR NOT, AND NOT 로 입력을 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블록간 접속을 위하여 OR STR로 묶으면 프로그램이 완성됩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