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전기기사 실기 2022년도 1회 기출 14번 문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실기 20개년 기출문제 > 김대호
글쓴이 이*민 등록일 2025.08.23 답변상태 답변완료
  •  나번 문제

    1차 입력이 100MVA 0.9진상, 3차측 전력용 콘덴서 50MVA 설치했을때 2차 출력과 역률 구하기

    -이건 강의와 교재내용대로라면 1차 출력 + 3차 출력해서 90-j93.59= 129.84 가 되는데

    3권선 변압기면 1차 출력 = 2차 출력 + 3차 출력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문제는 2차 출력을 구하는 것이고

    1차 90-j43.59 = 2차 출력 + -j50 이니깐

    2차출력 값에다가 -j50가 더해져서 90-j43.59이 나와야합니다. 따라서 2차 출력은 90 + j6.41 입니다. 이게 맞는 풀이 아닌가요??

     

    그리고 

    다번 문제는

    해답과 강의에서는 결국 전압강하가 얼마가 되는지를 구하는 문제라고 하셨는데 이 문제는 전압강하가 아니라 전압 변동률로 풀어야 하는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찾아보니깐, 

    전압 변동률발전기나 변압기에서 부하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전압 강하율전력선이나 전선에서 전류가 흐를 때 손실되는 전압 비율을 나타냅니다. 라고 하는데

    이 문제는 전력선 얘기가 아니니깐 전압 변동률 공식 p cos +- q sin 공식을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그렇게 전압 변동률 구해보면 구하면 1차측(진상) = -q sin 으로 구하면 -4.359%

    2차측(지상) = q sin 으로 구해서 (나) 문제 용량 환산 해주면 -0.064%

    3차측(진상) 구하면 -3.5%

    문제에서 1차측 단자전압을 줬으니 거기서 1차 전압변동률로 1차측 권선 전압 구하고 거기서 2차측 권선 전압 구하고 2차측 권선전압에서 2차 전압변동률로 2차측 단자 전압 구하고, 같은 방식으로 3차측 단자 전압 구해야 하는거 아닌지 문의 드립니다.

     

     

     

  • 김대호 |(2025.08.24 22:49)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질문 주신 3권선 변압기의 2차측 출력 및 역률 계산 문제에 대해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 요약

     

    1차측 입력이 100[MVA] (역률 90% lead), 3차측에 전력용 콘덴서 50[MVA]가 연결된 3권선 변압기에서, 2차측으로 공급되는 출력(피상전력)과 이때의 역률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계산 과정 및 답안

     

    변압기의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변압기의 손실을 무시할 경우, 1차측에 입력된 전력은 2차측과 3차측으로 출력되는 전력의 합과 같습니다. 이를 복소전력(피상전력)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차측 입력 전력) = (2차측 출력 전력) + (3차측 출력 전력) 따라서, (2차측 출력 전력) = (1차측 입력 전력) - (3차측 출력 전력)

     

     

    1. 1차측 입력 전력 (복소전력 S₁) 계산

    • 피상전력 |S₁| = 100 [MVA]

    • 역률 cosθ = 0.9 (진상, lead)

    • 유효전력 P₁ = |S₁| × cosθ = 100 × 0.9 = 90 [MW]

    • 무효전력 Q₁ = √(|S₁|² - P₁²) = √(100² - 90²) = √1900 ≈ 43.59 [Mvar]

    • 역률이 진상(lead)이므로 무효전력의 부호는 -j 입니다.

    • S₁ = 90 - j43.59 [MVA]

     

     

    2. 3차측 출력 전력 (복소전력 S₃) 계산

    • 전력용 콘덴서는 무효전력만 공급하므로 유효전력은 0입니다.

    • 공급하는 진상 무효전력이 50[MVA]이므로, 출력으로 보면 -j50[MVA]가 됩니다.

    • S₃ = 0 - j50 = -j50 [MVA]

     

     

    3. 2차측 출력 전력 (복소전력 S₂) 계산

    • S₂ = S₁ - S₃

    • S₂ = (90 - j43.59) - (-j50) = 90 - j43.59 + j50

    • S₂ = 90 + j6.41 [MVA]


     

    ∙ 2차출력

     

    위에서 계산한 2차측 복소전력(S₂)의 크기를 구합니다.

    • 계산과정: |S₂| = √(유효전력² + 무효전력²) |S₂| = √(90² + 6.41²) = √(8100 + 41.09) = √8141.09 ≈ 90.2279... [MVA]

    • 답: 90.23 [MVA]

     

    ∙ 역률

     

    2차측의 역률(cosθ₂)을 계산합니다.

    • 계산과정: 역률 cosθ₂ = (유효전력 P₂) / (피상전력 |S₂|) 역률 cosθ₂ = 90 / 90.23 ≈ 0.99745... 백분율(%)로 변환하면 0.99745 × 100 = 99.745... [%]

    • 답: 99.75 [%] (무효전력이 +j6.41 이므로 지상(lagging) 역률입니다.)


    전력 평형의 기본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복소전력으로 계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꾸준한 학습을 통해 원리를 터득해나가는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두 번째 질문은

    주어진 조건이 %리액턴스가 주어진것입니다. 이것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문제에서 2차 전압을 구하는 것이므로 전압강하로 구하거나 pu법으로 구합니다.

     

     

     

    언제나 학생분의 노고와 노력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꾸준히 정진하시어 반드시 합격의 기쁨을 누리시길 기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