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질문 요약: 타이머 T1 소자 후 릴레이 X의 자기유지 동작 여부
질문 주신 내용은 "A 접점 동작으로 T1이 여자되고 설정 시간 후 X가 여자될 때, 맨 위 줄의 X-b접점에 의해 T1이 소자되면서 X의 자기유지회로도 끊어져 동작이 유지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에 대한 시퀀스 회로 동작 해석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X의 자기유지회로는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자세한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동 (푸시버튼 A 동작)
-
릴레이 X 여자 및 자기유지
-
T1의 설정 시간이 지나면, 두 번째 줄에 있는 T1의 한시동작 a접점이 닫힙니다. 이로 인해 X 릴레이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X 릴레이가 여자됩니다.
-
X 릴레이가 여자되는 바로 그 순간, X 릴레이에 연결된 모든 접점들이 동시에 동작합니다.
-
(가) 첫 번째 줄의 X-b접점: 열리면서 타이머 T1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합니다. 이로 인해 T1은 소자됩니다. (질문자님께서 정확히 이해하신 부분입니다.)
-
(나) 세 번째 줄의 X-a접점: 이것이 바로 자기유지 접점입니다. 이 접점이 닫히면서, T1의 한시 a접점을 거치지 않는 새로운 전류 경로를 만들어 X 릴레이 자신의 코일로 전원을 계속 공급합니다.
-
동작 유지
-
위 (가)와 (나)의 동작은 동시에 일어납니다. 따라서 T1이 소자되고 T1의 한시 a접점이 다시 열리더라도, 이미 닫힌 X의 자기유지 a접점을 통해 X 릴레이는 계속해서 여자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
이와 동시에 네 번째 줄과 다섯 번째 줄의 X-a접점도 닫히면서 타이머 T2와 표시등(PL)도 동작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X-b접점에 의해 T1이 소자되는 것과 X-a접점에 의해 자기유지회로가 구성되는 것은 동시에 일어나므로, X 릴레이는 설정된 동작을 문제없이 유지하게 됩니다.
시퀀스 회로 해석에 있어 접점의 동시 동작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학습하시어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언제나 수험생 여러분의 노고와 노력을 격려하며, 꼭 합격하시기를 기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