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역률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실기 20개년 기출문제 > 김대호
글쓴이 최*혜 등록일 2025.09.2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십니까? 지난번 교수님의 답변으로 단락용량과 차단용량의 개념을 확립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질문)

    2011년 1회 1번 문제에서 전력용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 40(=+j40)[A]진상 역률 1의 전류가 맞는지요? 

  • 김대호 |(2025.09.24 02:36)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입니다.

     

    전력용 콘덴서는 회로의 뒤진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진상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전력용 콘덴서의 역할과 전류의 위상

    역할: 전력용 콘덴서(Static Condenser, SC)는 부하(특히 유도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지상(뒤진)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진상(앞선)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전류 위상: 이상적인 콘덴서 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섭니다.

     

    역률 및 무효율:

    역률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θ)에 대한 코사인 값(cosθ)입니다. 콘덴서의 경우 위상차가 90도이므로, 역률 cos(90∘ )=0 이 됩니다.

     

    무효율은 위상차(θ)에 대한 사인 값(sinθ)입니다. 콘덴서의 경우 무효율 sin(90∘ )=1 이 됩니다.

    따라서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는 유효성분은 '0'이고 무효성분만 '100%'인 순수 진상 무효전류가 됩니다.

     

    1. 벡터(페이저)를 이용한 전류 표현

    회로를 벡터(페이저)로 해석할 때, 일반적으로 전압(V)을 기준 벡터(실수축, 0°)로 둡니다.

    콘덴서 전류(IC​ ): 전압보다 90도 앞서므로, 복소수 평면에서 허수축(+) 방향에 위치합니다. 크기가 40[A]인 콘덴서 전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IC​ =40∠90∘ =0+j40=j40 [A]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콘덴서 전류 40[A]를 벡터 계산 시 j40[A]로 적용하는 것이 올바른 풀이 방법입니다.

     

    1. 진상역률 1에 디하여

    지상 역률 0 < PF < 1 0 <θ≤90

    진상 역률 0 < PF < 1 −90∘≤θ<0

    역률 1은 진상이나 지상 모두 동일한 상태를 말합니다. 전압과 전류가 동상이고 각도가 0입니다.

    '진상역률 1' 또는 '지상역률 1'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으며, '역률 1'만이 존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