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 교수입니다.
## 첫 번째 질문: 계산 결과 오차 (49.91 vs 49.90)에 대하여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험생께서 계산하신 49.90[kVA]도 정답으로 계산과정에 문제가 없고 답안지에 풀이과정과 답이 모드 맞을 경우 인정됩니다.
이러한 미세한 차이는 계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올림 오차 때문입니다.
오차 발생 원인:
역률(cosθ)을 이용해 무효전력(Q)을 구할 때 sinθ 값을 계산하게 됩니다. 이때 sinθ = sqrt(1 - cos²θ) 계산 결과는 보통 소수점 아래로 길게 나옵니다.
## 두 번째 질문: 계산기 표시 형식(1x10⁻⁴)에 대하여
현재 수험생의 계산기는 지수(10의 거듭제곱) 앞의 숫자가 한 자리 수가 되도록 맞추는 **'과학적 표기법(SCI, Scientific mode)'**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전기 단위를 다룰 때는 지수가 3의 배수(..., 10⁻⁶, 10⁻³, 10³, 10⁶, ...)로 표현되는 **'공학용 표기법(ENG, Engineering mode)'**이 훨씬 편리하고 실수를 줄여줍니다. (예: M(메가), k(킬로), m(밀리), μ(마이크로))
[fx-570ES PLUS 모델 설정 변경 방법]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계산기 왼쪽 상단의 [SHIFT] 버튼을 누릅니다.
바로 옆의 [MODE] (SETUP) 버튼을 누릅니다.
화면에 여러 설정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8:Norm 이라고 되어있는 부분 근처를 찾아보시면 7:Sci, 6:Fix 등이 있을 겁니다.
우리는 공학용 표기법으로 바꿔야 합니다. ENG 모드를 찾아 해당 번호를 누르시면 됩니다. (모델 버전에 따라 번호는 다를 수 있으나, **ENG**를 찾으시면 됩니다.)
[설정 변경 후]
설정을 ENG 모드로 바꾼 뒤 다시 1 ÷ (10 × 10³)을 계산해 보세요.
이전의 1.×10⁻⁴ 대신 100.×10⁻⁶ 과 같이 지수가 3의 배수로 표시될 것입니다.
여기서 키패드의 [ENG] 버튼을 한번 누르면 0.1×10⁻³ 로 바뀌고, 한번 더 누르면 0.0001 로 바뀝니다. SHIFT + ENG를 누르면 반대로 변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