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비접지 계통의 판단 근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험생께서 보신 접지 표시는 '기기 접지' 또는 **'보호 접지'**이며, 전력계통의 운전 방식을 결정하는 **'계통 접지'**와는 목적이 다릅니다.
- 계통 접지 (System Grounding) vs. 기기 접지 (Equipment Grounding)
계통 접지: 전력계통의 전로(전기가 흐르는 선) 자체를 대지와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변압기의 중성점을 대지에 연결하며, 목적은 전로의 대지전위 안정, 지락사고 검출, 보호계전기 동작 확보 등 계통의 안정적인 운용에 있습니다.
기기 접지: 전동기, 차단기, 변압기 등의 **비충전 금속 부분(외함, 철대)**을 대지와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주된 목적은 내부 절연 파괴 등으로 전류가 기기 외함으로 누설될 경우, 사람이 접촉 시 발생하는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조치입니다.
- 도면을 통한 비접지 계통 확인
델타(Δ) 결선 확인: 도면의 수전 측(고압 측, 6300V)을 보시면, 3상 3선식이 변압기 1차 측에 델타(Δ) 결선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중성점 부재: 델타 결선은 구조적으로 중성점(Neutral Point)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전로의 비접지: 또한 3개의 전력선중 어느 한 선도 대지와 직접 연결(접지)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처럼 전력계통의 전로 자체를 의도적으로 대지와 연결하지 않은 방식을 **'비접지 방식'**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