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입니다.
질문 1) '이도가 크면' 대신 '이도가 너무 크면'으로 작성해도 되는지?
네, 문제없습니다.
문제의 조건문에 '이도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시'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답안을 작성할 때 '이도가 너무 크면' 또는 '이도가 너무 작으면'으로 서술하는 것은 질문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표현입니다.
채점 시 '너무'라는 표현의 유무로 정답/오답을 결정하지 않으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질문 2) 모범답안을 일부 변경하거나 생략하여 작성한 답안도 정답으로 인정되는지?
핵심 키워드와 기술적인 의미가 포함되었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1) 이도는 지지물의 높이를 좌우한다.
정답입니다. 모범답안과 동일하며 핵심 내용을 정확히 기술했습니다.
(2) 이도가 크면 전선은 좌우로 진동해서 전선, 수목에 접촉할 수 있다.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좌우 진동', '다른 전선(또는 전선)', '수목 접촉'이라는 핵심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른 상의 전선'을 단순히 '전선'으로 표현해도 맥락상 충분히 의미가 전달됩니다.
(3) 이도가 크면 도로, 철도와 같은 횡단장소에서 접촉할 수 있다.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으나, 보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횡단 장소', '도로, 철도 등' 과의 '접촉' 이라는 핵심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신선' 등 일부 예시가 생략되었지만, 의미를 전달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무엇과 접촉하는가가 빠져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이도가 작으면 전선은 장력 때문에 단선될 수 있다.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으나, 보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도가 작은 것과 단선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장력의 증가' 입니다. 이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여 '이도가 작으면 장력이 증가하여 전선이 단선될 수 있다.' 와 같이 작성하시면 더 완벽하고 명확한 답안이 됩니다.
질문 3) '~할 수 있다' 와 같이 가능성을 표현하는 서술어도 정답으로 인정되는지?
네,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기술적인 현상이나 결과를 서술할 때, '~할 수 있다', '~할 우려가 있다', '~된다', '~한다' 등의 표현은 기술적인 내용만 정확하다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할 우려가 있다: 그러한 위험성이나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
~할 수 있다: 그러한 현상이 발생 가능함을 의미
~한다 / ~된다: 현상을 단정적으로 설명
이 문제에서는 위 표현 모두 의미가 통하므로 어떤 서술어를 사용하셔도 감점 요인이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