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 1. 이도가 클 때: '횡단장소' 및 '접촉 대상' 명시의 중요성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무엇과 접촉하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수험생님의 답안: 이도가 크면 도로, 철도와 같은 횡단장소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 답안은 의미상 충분히 전달되므로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장소에서 접촉한다'는 표현보다는 '장소에 있는 시설물과 접촉한다'는 표현이 더 정확합니다.
더 명확한 모범 답안:
이도가 크면 도로, 철도, 통신선 등과 접촉하여 위험하다.
이도가 크면 다른 시설물(도로, 철도, 통신선 등)과 접촉할 우려가 있다.
## 2. 이도가 작을 때: '장력의 증가' 명시 ⚡
결론적으로, '장력의 증가'를 명시하는 것은 매우 좋은 답안이며, 당연히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이도가 작다는 것은 전선이 팽팽하게 당겨져 있다는 의미이며, 이는 곧 장력(Tension)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도한 장력이 전선을 끊어지게 만드는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표준 답안: 이도가 작으면 장력이 증가하여 심할 경우 단선될 우려가 있다.
## 3. 이도가 클 때: '진동'의 유의어 사용 가능 여부
'진동'은 바람 등에 의해 전선이 흔들리는 현상을 나타내는 가장 기술적인 용어입니다. 하지만 채점 기준에서는 핵심적인 물리 현상을 올바르게 설명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좌우로 진동해서 (표준적인 표현, 정답)
좌우로 이동해서 (정답)
좌우로 움직여서 (정답)
좌우로 흔들려서 (정답)
위 표현들은 모두 '바람의 영향으로 전선이 좌우로 움직여 다른 상의 전선이나 수목에 닿을 수 있다'는 핵심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