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 답안 채점 결과
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학생분께서 작성하신 답안은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이는 문제의 [작성답안]에 있는 "변압기 권선이 Δ접속에는 Y접속, Y접속에는 Δ접속"이라는 내용과 정확히 같은 의미입니다. 오히려 'CT'의 결선임을 명시해주어 의미가 더 명확합니다.
- 완벽한 답안을 위한 추가 설명 (결선 이유)
완벽한 "설명" 답안을 위해서는 왜 그렇게 결선해야 하는지 이유를 한 줄 덧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의 [작성답안]에도 ...위상관계를 적정하게 하여야 한다.는 이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Y-Δ 변압기와 CT 결선의 원리
변압기 위상 변위: Y-Δ 결선 변압기는 1차측 전압/전류와 2차측 전압/전류 간에 30°의 위상차가 발생합니다.
비율차동계전기의 동작: 비율차동계전기(87)는 1차측 CT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2차측 CT에서 들어오는 전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차동전류)**로 변압기 내부 고장을 검출합니다.
위상 보상: 만약 CT 결선을 변압기와 동일하게 Y-Y 또는 Δ-Δ로 해버리면, 정상 운전 중에도 변압기 자체의 30° 위상차 때문에 계전기에는 항상 큰 차동전류가 흘러 오동작하게 됩니다.
CT 역결선: 이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CT 2차측 회로에서 인위적으로 30°의 위상차를 보상해 주어야 합니다. 이 방법이 바로 변압기 결선과 반대로 CT를 결선하는 것입니다.
변압기 Y결선 측 (1차) CT는 Δ결선
변압기 Δ결선 측 (2차) CT는 Y결선
이렇게 하면 1차측과 2차측의 위상차가 모두 보상되어, 정상 운전 시 계전기에 들어오는 두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게 됩니다.
추천 모범 답안
따라서 실기 시험에서 가장 완벽한 답안은 다음과 같이 *'방법'*과 *'이유'*를 모두 포함하는 것입니다.
"변압기 Y결선측에 설치된 CT는 델타결선, 변압기 델타결선측에 설치된 CT는 Y결선을 하여, 변압기 1, 2차측 전류의 위상차를 보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