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시중에 나도는 단답형식의 내용(지락사고시 전류방향)에서 발췌한 내용' 이 무엇인지 알수 없습니다. 다음 질문 부터는 무엇을 보는지 그것을 첨부하고 질문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추측해서 답변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시험이 임박하므로 답변드립니다.
다만, 추측하여 답변하면...
결론: 이 그림은 오류가 아니며, "비접지(IT) 계통"의 지락전류를 매우 정확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수험생께서 혼동하시는 이유는 **'직접접지 계통'**의 지락전류와 **'비접지 계통'**의 지락전류 흐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수험생께서 알고 계신 경로 (직접접지 계통)
공급측 -> 지락점 -> 대지 -> 접지점(변압기 중성점) -> 공급측
이 경로는 수험생께서 말씀하신 대로입니다. 이는 변압기 중성점을 대지에 직접 접속하는 **직접접지 계통(TT 계통)**에서의 경로입니다. 이 경우, 고장 상과 대지 사이에 저임피던스 회로가 구성되어 매우 큰 고장전류가 흐릅니다.
- 이 문제의 경로 (비접지 계통)
하지만 이 문제의 전원(CVCF)은 도면상 **중성점이 접지되지 않은 '비접지(IT) 계통'**입니다.
정상 상태: 비접지 계통이라도 각 선로(3상)는 대지와의 사이에 C_0, C_L1, C_1, C_L2, C_2와 같은 **대지 정전용량(Stray Capacitance)**을 가집니다. 정상 시에는 이 정전용량들이 평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지락 사고 발생 시 (그림의 지락점):
한 상(지락상)이 지락되면, 그 상의 대지 전위는 0 [V]가 됩니다.
하지만 전원은 계속 3상 전압을 만들어내므로, **건전상(지락되지 않은 나머지 상)**의 대지 전위는 평상시의 상전압에서 선간전압크기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건전상과 대지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정전용량들(C_0, C_1, C_L1, C_2, C_L2 중 건전상에 연결된 것들)에 이 높아진 전압이 걸리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건전상에서 -> 이 정전용량들을 통해서 -> 대지로 충전전류가 흘러나갑니다.
대지로 흘러나온 이 모든 충전전류들은 **지락점(고장상)**으로 모여들어 다시 고장상 선로로 흘러 들어갑니다.
- 결론
직접접지 계통: 지락전류는 중성선 접지점을 통해 귀로하는 고장전류입니다.
비접지 계통 (이 문제): 지락전류는 건전상의 대지 정전용량을 통해 귀로하는 충전전류입니다.
따라서 문제의 그림에서 ELB_2측(건전상으로 간주)의 커패시터(C_L2, C_2)로부터 전류가 흘러나와(Ic2) 대지를 거쳐 ELB_1측의 지락점으로 흘러 들어가는(Ic1) 것처럼 표현한 것은, 비접지 계통의 지락전류 흐름을 매우 정확하게 묘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