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동일 작성자의 질문과 관계있는 질문에 대해 답변 요청 드립니다.
3장의 송전선로 특성값 계산을 하면서 문제에서 3상3선식, 단상2선식과 같은
송전선로의 종류(?)에 대해 문제에서 주어지는 경우를 빈번히 경험하였습니다만
위와 같은 종류의 명확한 기준 및 기초 이론이 부족하여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출제 No.10 : 3상3선식 송전선로의 선전류 & 1선당 저항이 주어짐,
전력손실 구하는 문제
=> 3선식이라는 말을 통해 1선당 저항의 병렬연결을 생각하고 합성저항을 구하여
전력손실을 구하는 공식에 대입
- 출제 No.41 : 345[kV] 2회선 선로의 선로길이, 송전용량계수 주어짐
송전용량을 구하는 문제
=> 용량계수를 통해 송전용량 구하는 공식에 각각의 값을 대입하였지만
2회선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해 2를 곱하지 못했음
* 3상이라 함은 각각의 선로에 위상이 다르다는 것이 맞는 개념인가요?
* 위상이 다르다면 역률값 또한 다른가요?
* 1선식, 2선식, 3선식의 명확한 개념은 어떤건가요?
* 문제에서 2회선이라하면 철탑에 가공된 똑같은 조건이 주어진 선로가 2개 있는건가요?
명확한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