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단상 3상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필기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김*웅 등록일 2018.06.26 답변상태 답변완료
  • https://elec.inup.co.kr/post/read.jsp?id=18746&layout=&s_module=&s_field=&s_keyword=

     

    답변 주신거보고 정리해봤는데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전력손실을 구할때 단상이면 곱하기 2. 3상이먄 곱하기 3이라고 하셨는데 

    몇선식인지는 안중요한건가요??

     

    (단상 2선식, 3상 3선식 을 잘모르는데 단상은 2선식으로만 존재하고

    3상은 3선식으로만 존재하는 고정적인 건가요)

     

  • 학습관리자 |(2018.06.26 16:28)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합성저항에서 리액턴스도 3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그리고 단상은 2선식과 3선식이 있지만 불평형 또는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특별하게 주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중성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고 해석하기 때문에 중성선 전력손실은 무시합니다. 따라서 단상은 2선의 전력손실만 계산하면 되는 거죠^^

    물론 3상도 같은 의미입니다. 3상3선식과 3상4선식에서 3상4선식의 한 선은 중성선이기 때문에 중성선의 전력손실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단상은 곱하기 2, 3상은 곱하기 3을 하여 전력손식을 구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주어진 경우에는 중성선도 동일 굵기 및 종류의 전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성성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중성성 전력손실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불평형의 조건이므로 각 선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적용하여 따로따로 전력손실을 구하여 합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겠죠. 그렇기 때문에 문제는 거의 단상, 3상이 모두 평형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문제를 출제하고 있습니다.

    열공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