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출형 차단기는 예전에 단로기 붙이 였다가 플러그 인타입 으로 사용 되었었는데 최근에는 인출형 차단기로 호징하게 되었습니다. 인출형이란 큐비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를 외부로 꺼내었다가 다시 안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구조란 뜻인데 플러그 인 타입이란 말도 콘센트 플러그처럼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구조란 의미로 붙인 명칭입니다. 그리고 차동계전기는 일반적으로 입력과 출력의 전류에 차이가 생기게 되면 변압기나 발전기 내부의 고장으로 인식하도록 제작된 계전기인데 비교계전기는 전류의 차 뿐만아니라 위상 및 방향까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계통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계전기이기 때문에 주로 외부 고장을 검출하는데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