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산업)기사실기 정규이론 종합반 > 김민혁
글쓴이 심*현 등록일 2019.03.28 답변상태 답변완료
  • 과ㆍ년도를 돌리다가 zct가 있을땐 지락계전기, 선택지락계전기
    ct가 있을땐 지락과전류계전기, 지락계전기 가 있던데 어떤 조건이어야 뭐가 나오는지 너무 헷갈립니다.
    기준을 확실히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김민혁 |(2019.03.29 10:04)

    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먼저, 보호계전기를 변성기와 연결할때 어떻게 엔지니어가 보호설비를

    구축하느냐에 따라 가능한 경우의 수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00% 딱잘라서 이야기 하는 것 자체가 어렵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보호계전기와 변성기의 범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ZCT는 일반적으로 비접지(델타)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때

    지락계전기, SGR, DGR 등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OCGR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말씀드리면 비접지방식에서 전압에 대한 물리량은 GPT와 영상전압

    계, OVGR 등을 조합하여 사용하곤 합니다. 

    자 그렇다면, 이번에는 접지계통에서 지락사고에 대한 보호방식의 조합을 말씀드리

    겠습니다.  일반적으로 CT와 OCGR을 사용합니다. 전압은 PT와 OVGR을 조합합

    니다. 

    건승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