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명: 전기(산업)기사_회로이론
문의내용:
그러면 컨덕턴스는 콘덴서의 연결이라고 이해하면 되는거지요?
[이 전 답변받은 내용]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콘덴서 정전용량의 단위가 F(패럿)일 때와 AH(암페어 아우워)일 때에는 적용하는 공식이다릅니다.
C=Q/V[F], C=It[AH]
이 두가지 의미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같은 뜻을 담고있지만 F 단위는 회로에서 C의 성분 또는 성질을 갖는 하나의 소자나 요소로 표현이 될 때 적용하는 단위이고 AH는 축전지, 즉 말 그대로 배터리의 용량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과 계산하는 공식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으니 두가지 내용은 구별을 하여 학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C는 리액턴스 성분으로 변환하여 적용하게 되면 저항과 반대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공식이 C의 직렬과 저항의 직렬은 적용하는 방법이 완전히 다릅니다. 오히려 저항의 병렬릐 특성과 비슷하다고 함이 맞는 표현일 것입니다. 따라서 C와 R의 공식으로 서로 비교하면서 학습하시면 오히려 혼동되지 않고 암기하기 더 수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