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전기설비설계 필수문제 42번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산업)기사실기 정규이론 종합반 > 홍성민
글쓴이 마*해치 등록일 2019.09.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까지 v1 v2가 있으면 v1이 송전단 전압 v2가 수전단전압으로 알고있었습니다.

    42번 문제에서 6300/210v인 단상변압기 3대를 델타-델타 결선하여 수전단전압이 6000v인 배전선로에 접속하였다고 주어졌는데요,

    그래서 저는 2차측(수전단 전압)이 6000v라고 생각해 그대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정답 계산과정에는6000을 v1으로 놓고 변압비를 곱해 v2를 새로 구하더라구요!

    변압기 2차측 전압과 수전단 전압이 다른건가요? 변압기에서 송전전압을 변성하여 변압기 2차측 즉, 부하측 전하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가요?

  • 학습관리자 |(2019.09.12 11:12)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답변이 지연되어 대신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송전선로에서 송전단과 수전단 사이에는 전선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수전단에 변압기가 접속되는데 이 때 변압기 1차 전압은 수전단 전압과 같은 전압이 공급됩니다. 수전설비 도면을 하나 꺼내어 이해하도록 해 볼께요. 수전설비의 맨 위의 단자를 수전점 또는 수전단자라고 합니다. 이 단자에 수전전압이 공급되며 수전설비는 맨 아래 부하 앞쪽에 접속되어 수전전압을 공급 받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2차측 저압으로 변성한 후 부하에 공급하게 되겠죠~

    따라서 만약에 송전선로에서 송전단, 수전단 이렇게 구별된다면 V1, V2를 각각 송전단, 수전단 전압으로 표현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변압기 문제로서 V1, V2는 1차, 2차 전압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변압기 권수비가 주어진 것처럼 변압기 1차측이 고압측, 2차측이 저압측임을 또한 알 수 있습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