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질문1]
MOF 보호를 위해 앞부분에 파워퓨즈가있고
MOF 뒷부분이 한개의 공백이면 전력량계가오고
MOF 뒷부분이 두개가 공백이면 DM과 Var이 올수있고
만약 아래쪽 PT부분쪽에 역률계와 유효전력계가 있으면
MOF 뒷부분은 한개 공백인 곳은 DM만와도된다....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맞게 이해한건가요?
답변 : 네. 그렇게 하셔도 좋습니다.
[질문2]
WH는 계기니까 심볼로쓰면 동그라미로쓰나요?
(계전기 = 사각박스, 계기 = 동그라미)
근데 한글로표기할 땐 사각박스를 그리고 "전력량계"를 바깥에 쓰던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답변 : 동그라미도 가능하고, 직사각형 박스도 가능합니다. 둘다 가능합니다.
[질문3]
단선계통도에서 PT앞에 포장퓨즈(네모박스에 대각선으로 줄그어진)가 그려진 단선도를 보았습니다. PT앞에 포장퓨즈심볼이 와도되나요?
답변 : 저압에 경우에 그렇게 그려 주시면 좋습니다.
추가]
위 문제완 별개로
ABC상과 2차모선 사이에 변압기 2대를 결선할 때
UV, uv 결선하는 것이었고 UV(uv)와 전선사이에 퓨즈를 사용하는 문제였습니다.
포장퓨즈와 비포장퓨즈는 어떨때 사용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 포장과 비포장은 계통의 전압과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딱 뭐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질문4]

수전설비계통을 설계하는 것 외에
심벌, 기호, 약호를 적는 문제에서
심벌칸에 그리고나서 심벌 옆에 작게 약호를 써줘야되나요? 사진첨부했습니다.
답변 : 약호를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