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TS 과년도 출제예상문제 2번, 3번, 4번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실기 합격패키지(이론+기출+블랙박스) > 김대일
글쓴이 이*효 등록일 2019.09.2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강사님.

    문제2번에 대한 질문

    (1) 도체의 단면적과 간선의 최소 굵기, 전선의 최소 굵기 이렇게 3개의 용어가 다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2) 접지선과 전선은 다른 것으로 봐야하나요?

     

    문제3번에 대한 질문

    (1) 전선의 최소 굵기를 구하려고 [표4] 200V 3상 유도 전동기 1대인 경우의 분기회로를 참고했습니다. 그런데 표 안에 배선종류에 의한 간선의 최소 굵기라고 적혀 있더라구요. 저는 간선이라는 용어는 분기회로와는 서로 반대라고 생각했었는데요.. 여기선 간선이라는 말은 무시하고 풀어야할까요?(464p표에는 전선이라 적혀있고 문제 3번 473p에는 간선이라 적혀있습니다. 오타가 아닌가 싶습니다.)

    (2) 델타-와이 기동 전동기는 6가닥이라고 하셔서 그렇게 외우고 있는데요. 근데 다른 유도 전동기는 가닥수를 어떻게 확인하나요?(문제 2번의 경우엔 그림에서 3상 3선식이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문제4번에 대한 질문

    (1) 차단기(MCCB)의 극수가 4인 경우가 1. 각 극이 동시에 개폐가 됨 2. 비접지상태가 되지 않음 3. 리액터나 저항기를 달았음. 이 3가지 조건 중 어떤 조건이기 떄문에 극수가 4p가 되는 것인가요?

    (2) 책에는 배선용 차단기의 규격에 극수: 4극, 전압: 600V, AF/AT: 400/250[A] 이렇게 표현되어있습니다. 전압 600V는 어디서 나온건가요?

  • 학습관리자 |(2019.09.22 18:36)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답변이 지연되어 대신 답변 드리겠습니다.

    문제2번에 대한 질문

    (1)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2) 접지선과 전압선 또는 전력선은 다른 의미이며 또한 전선관 내의 전선의 가닥수에 접지선은 포함시키지 않습니다.단, 중성선은 전압선과 같은 굵기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성선은 포함합니다. 

     

    문제3번에 대한 질문

    (1) 오타입니다.

    (2) 전동기의 가닥수는 전동기 인출선의 수를 의미하며 전동기 내부 회로가 1차, 2차로 되어 있는 경우 6가닥으로 인출됩니다. Y-델타 기동 전동기, 그리고 2차 저항기동 전동기가 이에 속합니다.

     

    문제4번에 대한 질문

    (1) 극수가 4P란 단자가 4개 사용된다는 의미이며 3개는 전압선 단자이고 1개는 중성선 단자입니다.

    (2) 배선용 차단기는 저압용 차단기로서 저압의 상한이 600V이기 때문에 기입한 내용입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