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답변이 지연되어 대신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결상계전기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간이수전설비에서는 차단기가 설치되지 않는 관계로 전력퓨즈로 차단기를 대신하게 되는데 선간 단락사고가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전력퓨즈는 각 선간에 접속된 퓨즈 2개가 동시에 용단되지 못하고 그 중 하나가 먼저 용단되면서 단락전류가 차단됩니다. 일단 전력퓨즈는 단락전류를 차단하는데는 성공을 하였는데 문제는 지금부터입니다. 3선 중 퓨즈가 하나만 용단되다 보니 전원이 2상으로 공급이 되고 있는 결상사고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문제는 부하에 3상 유도전동기가 접속된 경우 결산으로 부터 게르게스 현상으로 결국은 유도전동기 부하가 과여자 되거나 또는 결상된 저눤선에 접속된 단상 부하는 정전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변압기 2차측 저압측에 ACB라는 차단기가 유도전동기 조각회로인 시퀀스 회로에 결산계전기가 동작할 경우 차단될 수 있도록 시퀀스 회로에 결산계전기 추가하여 설계하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고압부하개폐기는 동시 동작형 개폐기이기 때문에 수전설비 고압측 전선에 LBS를 설치하면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3선을 일시에 차단할 수 있어서 결상사고를 피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