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13년 1회 전력공학 과 무부하 전부하의미 질문
질문유형 기타문의 > 기타사항
글쓴이 이*강 등록일 2020.05.06 답변상태 답변완료
  • 수고하십니다. 두가지 답변부탁드립니다.

    문제.배전선로에서 사고범위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당하지안은것은?

    1.배전계통의 루프화

    2.선택접지계전방식 채택

    3.구분개폐기 설치

    4.선로용콘덴서 설치   기출문제집은 동일출판사로 보고있습니다, 해설에 배전선로에서 진상성분(콘덴서)은 이상전압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켜 사고범위가 확대될수있으므로 대책으로 적당하지않다 라고 되있는데 왜 진상성분이 이상전압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는지요?

    둘째. 기기고 전력이고 무부하 전부하라는 용어를 자주 접합니다. 상식선에서도 부하가 없다 부하를 100%가했다 고 쉽게 생각하고 여러 강사님들도 그런의미로 말씀을 하십니다. 그러나 막상 문제를 접하면 이보다는 더 깊이있는 의미를 알아야 할것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막연하다는 말씀이지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학습관리자 |(2020.05.07 17:01)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1. 콘덴서는 기본적으로 전압보다 전류의 위상을 앞서게 하여 진상전류가 흐르게 하는에 이 진상전류가 수전단 전압을 송전단 전압보다 더 높게 발생시키는 패란티 효과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선로에 콘덴서를 접속하게 되면 선로의 전압을 더 높게 하여 이상전압 발생의 우려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 한 보기가 아님을 이해하셔야 하겠습니다.

    2. 무부하와 전부하는 매우 중요한 표현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하면 안되니 이번에 정확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무부하란 발 그대로 부하가 없다란 의미로 부하측 단자가 개방되어 부하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부하 상태가 되어 부하 단자가 개방되었다면 전류는 당연히 흐를 수 없지만 개방된 단자에는 송전측 전압이 거의 그대로 걸리기 때문에 무부하 단자전압이 부하가 거릴 때보다 더 높은 전압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전부하란 당연히 부하 단자에 부하가 전체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변압기 용량이 10kVA 라고 할 때 변압기에서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은 10kVA이고 이 전력을 몽땅 사용하고 있을 때를 전부하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부하를 운전할 때 전부하 운전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렇더라도 문제에서 전부하 운전이란 조건이 주어진다면 부하 전체를 모두 운전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식을 전개하셔야 합니다~

    열공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