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1. 콘덴서는 기본적으로 전압보다 전류의 위상을 앞서게 하여 진상전류가 흐르게 하는에 이 진상전류가 수전단 전압을 송전단 전압보다 더 높게 발생시키는 패란티 효과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선로에 콘덴서를 접속하게 되면 선로의 전압을 더 높게 하여 이상전압 발생의 우려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 한 보기가 아님을 이해하셔야 하겠습니다.
2. 무부하와 전부하는 매우 중요한 표현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하면 안되니 이번에 정확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무부하란 발 그대로 부하가 없다란 의미로 부하측 단자가 개방되어 부하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부하 상태가 되어 부하 단자가 개방되었다면 전류는 당연히 흐를 수 없지만 개방된 단자에는 송전측 전압이 거의 그대로 걸리기 때문에 무부하 단자전압이 부하가 거릴 때보다 더 높은 전압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전부하란 당연히 부하 단자에 부하가 전체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변압기 용량이 10kVA 라고 할 때 변압기에서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은 10kVA이고 이 전력을 몽땅 사용하고 있을 때를 전부하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부하를 운전할 때 전부하 운전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렇더라도 문제에서 전부하 운전이란 조건이 주어진다면 부하 전체를 모두 운전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식을 전개하셔야 합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