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3상의 각 상에는 대칭분 3가지(영상분과 정상분, 그리고 역상분) 성분이 항상 존재하지만 평상시에 그 값이 언제나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대칭분 중 영상분과 역상분은 그 값이 나타날 수 있는 조건이 만족이 되면 선로에 그 값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그 조건은 지락사고와 평형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들면 사람의 몸 속에도 감기 바이러스가 항상 존재하지만 항상 감기에 걸리지 않고 어떤 조건이 주어졌을 때 감기가 걸리는 것처럼 이와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상분은 지락사고가 생기기 전에는 절대호 존재하지 않는 성분입니다. 그리고 3상이 평형인 상태에서는 역상분은 절대로 나타날 수 없습니다. 문제에서는 이미 그런 조건이 주어진 상태라는 조건으로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그대로 해석하게 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