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연가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필기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정*영 등록일 2020.07.08 답변상태 답변완료
  • 선생님 연가를 하게되면 직렬공진을 방지한다하였는데

    직렬공진은 저항이 최소가되고 전류가 최대로 흐르게되는 것을 말하는데

    직렬공진을 방지하게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직렬공진시 선로에 끼치는 영향이 무엇인가요?

    그렇다면 직렬공진의 반대인 병렬공진의 영향과 연가의 효과가 같게되는 건가요?

  • 학습관리자 |(2020.07.09 10:12)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공부하시다가 아마도 많이 궁금하셨던 내용일 거예요~ㅎㅎ 일단 직렬공진은 계통에서 좋지 않은 특성을 갖게 되는데 바로 계통에 흐르는 전류가 직렬공진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값의 상승으로 전선의 허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면 전선을 과열 시키거나 선로에 설치된 기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때 송전선은 철탑의 암에 매달려 설치되는데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다면 선로의 작용인덕턴스와 작용정전용량이 직렬접속되어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전체  선로를 3배수 등분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전선의 대지로부터의 이격거리는 조절하게 되면 연가된 구간마다 작용정전용량과 작용인덕턴스가 달라지기 때문에 직렬공진이 일어날 수 없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전체 선로의 각 전선과 대지 사이의 평균거리는 일정하게 되어 전체적인 작용인덕턴스와 작용정전용량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특징을 함께 지니게 되니 결국은 선로정수 중 L, C값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란 목적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직렬공진은 전선의 높이가 달라지는 곳에서 방지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