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시다가 아마도 많이 궁금하셨던 내용일 거예요~ㅎㅎ 일단 직렬공진은 계통에서 좋지 않은 특성을 갖게 되는데 바로 계통에 흐르는 전류가 직렬공진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값의 상승으로 전선의 허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면 전선을 과열 시키거나 선로에 설치된 기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때 송전선은 철탑의 암에 매달려 설치되는데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다면 선로의 작용인덕턴스와 작용정전용량이 직렬접속되어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전체 선로를 3배수 등분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전선의 대지로부터의 이격거리는 조절하게 되면 연가된 구간마다 작용정전용량과 작용인덕턴스가 달라지기 때문에 직렬공진이 일어날 수 없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전체 선로의 각 전선과 대지 사이의 평균거리는 일정하게 되어 전체적인 작용인덕턴스와 작용정전용량은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특징을 함께 지니게 되니 결국은 선로정수 중 L, C값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란 목적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직렬공진은 전선의 높이가 달라지는 곳에서 방지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