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역회로의 한 회로도입니다.
조건이 주어지고 정역회로를 통채로 구성하는 문제가 과년도에 자주 등장하는데..
문제를 계속 푸니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있습니다.
1. RST 선중에 어느 선을 빼서 보조 회로를 구성해야하나요?
어떤 문제는 R에서 선을 빼서 위로 T에서 선을 빼서 아래로 하고
위 문제에서는 T에서 선을 빼서 위에로 R에서 선을 빼서 아래로 나와 있는데
RST가 있는 거보니 3상 3선식 같은데..
RST 중 어느 선이나 아무거나 빼서 위 아래로 가면 되는 건가요?
N선이 없으니 선의 중복만 되지 않으면 아무선이나 빼서 사용해도 되지 않나요?
2. MC 개폐기를 보면 점선 또는 실전으로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이 표시의 뜻은 동시에 개폐가 된다는 뜻인데..
실선이나 점선 어떤 선으로 표시를 하든 상관 없는 걸까요?
또 어떤 문제에서는 점선, 실선 아예 표시가 안되어 있는 것도 있던데..
따로 기준이 있는 걸까요?
개폐기는 모두 동시 개폐가 되어야 불평형이 생기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그럼 회로 그릴 때 개폐기에 모두 점선이나 실선을 표시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