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3권선 변압기 2차측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
2차에 바라본 합성 임피던스는 1차와 3차가 병렬, 2차와 직렬 연결 됨을 알고 있습니다.
3차에 조상설비를 설치하기 때문에 2차에서 단락이 발생한다면 조상설비를 전원으로 보기
때문에 1차와 3차를 병렬 연결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3차에서 단락사고 발생시 합성%임피던스는 1차와 3차를 직렬합성 해주면
되나요? 1차와 2차를 병렬, 3차와 직렬 합성해 주어야 하나요?
질문2)
소문제 (3)번 질문입니다.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오른쪽 페이지 등가회로를 보면 1차와 2차가 병렬,
3차와 직렬 합성함을 볼 수 있습니다.
3차에 설치된 VCB의 차단용량을 구하는 문제인데요,
이 문제에서는 3차에 설치된 차단기 용량을 구하기 위해 합성%임피던스를 구하는 과정에
서 왜 2차의 임피던스까지 합성해 주었는지가 궁금합니다..
강사님께서 설명해 주신 바로는
2차에서 단락발생시 3차의 조상설비 또한 전원으로 보고 1차와 3 차 병렬, 2차와는 직렬
합성을 해주어야 한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너무 헷갈립니다 ㅜㅜ도와주세요ㅜ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