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전기산업기사 5주완성 p4-50의 15번 문제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필기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이*형 등록일 2020.07.17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무효전력 576 을  +j 576 으로 쓰는 이유가 복소전력에서 쓰는 방법이라고 설명하셨는데 이해가 안되네요...


    복소전력으로 풀때는 전압이나 전류의 공액을 취한 다음에 계산을 하는데 이문제는 그것도 아닌것 같고


    직렬연결에서  용량성리액턴스는 분명히  -j4 인데



    제가 문제 해석을 잘 못하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학습관리자 |(2020.07.17 11:49)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고 계신가요~? 다시한번 설명 드리겠습니다.

    복소전력을 구하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전압의 공액을 취하는 경우와 전류에 공액을 취하는 경우가 그것인데 이 때 전압의 공액을 취하면 용량성 +j, 유도성 -j로 나오고, 전류에 공액을 취하면 반대로 부호가 바뀌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용량성(C부하)의 성질은 진상전류(위상이 앞선 전류)는 진상 역률과 진상 무효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류와 역률, 그리고 무효전력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한다고 설명을 해 드린바가 있습니다.

    만약 전류의 공액을 취하게 되면 이 성질이 반대로 바귀게 되기 때문에 전압에 공액을 취해서 계산함이 바람직하다는 것도 말씀을 해 드렸는데 생각이 안나시나요~?

    따라서 용량성의 무효전력은 부호가 +j로 나와야 적당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