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무부하시 정격전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단기완성 종합반 > 홍성민
글쓴이 이*남 등록일 2020.07.2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확인문제 20(전기기기 3-11) 에서,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전류 라는 개념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타여자 직류 발전기에서 무부하라면 전기자 쪽 회로가 단선 되어있는 거잖아요? 전선조차도 부하라 할 수 있으니 무부하는 전류가 흐르는 길이 끊겨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그런데 전류가 존재한다?? 이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전기자 전류던 부하전류던 무부하라면 존재할 수 없는 게 아닌가요?

     

     

  • 학습관리자 |(2020.07.21 12:15)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답변이 많이 지연되어 대신 답변 드리겠습니다.

    회원님께서 잘 못 이해를 하고 계신 듯 합니다. 일단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전류는 흐르지 않는게 당연히 맞습니다. 하지만 발전기와 같은 기기는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장치가 부하와 별개이기 때문에 부하가 없다고 하더라도 발전기는 전기에너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부하가 접속되어 있지 않아 부하에 공급을 하지 못할 뿐이지 발전기는 부하와 상관없이 유기기전력이라는 전기에너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 문제의 의미를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부하가 접속된 상태를 생각해 보면 전기자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기자 권선에 있는 저항레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면 부하측 단자전압은 당연히 유기기전력보다 작은 전압이 걸리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무부하 상채라면 어떻게 될까요~? 결국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전기자 전압강하가 나타나지 못하기 때문에 발전기 전기자에서 유기되었던 유기기전력 전체 전압이 부하측 개방된 단자에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문제는 무부하 상태에서 개방된 단자전압을 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유기기전력을 구하여 그 유기기전력을 무부하 상태의 부하 단자전압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