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일단 조도는 광원의 빛이 피조면에 닿아 피조면을 밝힐 때 피조면 그대로의 밝기를 조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광속발산도는 조금 의미가 다르게 표현되는데 피조면에 닿은 빛은 반사되거나 또는 투과되는 경우가 있을텐데 이 경우 피조면에서의 반사율 또는 투과율이 적용되어 피조면에서 광속이 발산되는 양을 표현하는 것이 광속발산도입니다~
예를 들면 피조면에 조도계를 놓고 측정한 값은 조도값이 되겠죠~? 하지만 피조면을 일정 거리에서 바라보고 있을 때 바라보고 있는 사람의 눈으로 들어오는 빛은 피조면에서 반사된 빛이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광속발산도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