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제동비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쌍기사 프리패스반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 이승원
글쓴이 차*재 등록일 2020.07.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제동비= 제2의 오버슈트/최대오버슈트던데

    오버슈트는 부족제동일 때만 있으니 이 제동비를 구하는 공식은 임계제동과 과제동일땐 사용 못 하지요?

  • 학습관리자 |(2020.07.25 10:37)

    안녕하셍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제동비의 다른 표현이 감쇠율입니다. 따라서 제어량 곡선이 감쇠곡선일 때 그 공식을 적용할 수 있겠지요~

    자~ 그럼 단위계단입력을 준 시스템에서 출력의 그래프는 입력으로 정해준 1을 향해 증가곡선을 그리다가 제동비가 증가하면 1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진동을 하지 못하는 그래프가 나오게 됩니다. 또한 임계제동일 때에도 오버슈트를 발생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동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부족제동일 때에는 당연히 제동비율로 그래프가 감쇠하게 되겠지요..

    이번에는 임펄스 입력을 가해보면 이 때에는 해석이 조금 달라지는데 임펄스는 결국 0입력이기 때문에 출력 그래프가 진폭 1 사이에서 감쇠하여 진동하는 경우 제동비가 1보다 작은 경우이고 진폭 1사이에서 일정한 진동폭으로 무한 진동하는 그래프는 임계제동 그래프이며, 진폭 1에서 진동을 시작하여 진폭 1을 벗어나는 발산 진동인 경우에는 제동비가 1보다 큰 경우라 해석합니다.

    출력의 그래프는 입력의 형태에 따라 조금 다른 차이점도 있으니 이런 점도 감안하셔야 하는데 사실 전공이 아닌 경우에는 이런 시스템을 시뮬레이션을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어려울수 밖에 없으며 이런 내용이 있구나~ 하는 정도로 학습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여하튼 이런 내용으로 진행되는것이 과도응답 이론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