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 기동시 R 저항이 나타납니다. R 을 기계적 출력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등가저항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질문드립니다.
1. 기계적 출력이란 전동기가 회전을 하는 것일텐데..... R을 우리가 추가해야만 출력이 나온다는 말인가요?
2. R을 우리가 추가하지 않으면 전동기는 돌지 않는다는 소리인가요?
2. 아니면 R이란 성분은 기동하면 당연히 생기는 저항 (눈에는 안보이지만)이고, 이 성분때문에 회전을 하는 것이다라고 회전을 해석하기위해서 써논 저항인가요?
3. 식으로보면 우리가 추가하지 않아도 운전하면 생기는 저항인듯 한데....
4. 비례추이를 통해 저항이 추가되면 속도를 제어할 수 있되는 것은 알고 있는데..... 그때 추가되는 저항은 우리가 임의로 가변할 수있도록 만들면 되는데.... 이때 이 가변저항과 R 은 근본적으로 다른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