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유도전동기전력변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필기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서*권 등록일 2020.07.3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유도전동기 기동시 R 저항이 나타납니다. R 을 기계적 출력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등가저항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질문드립니다.

    1. 기계적 출력이란 전동기가 회전을 하는 것일텐데.....  R을 우리가 추가해야만 출력이 나온다는 말인가요?

    2. R을 우리가 추가하지 않으면 전동기는 돌지 않는다는 소리인가요?

    2. 아니면 R이란 성분은 기동하면 당연히 생기는  저항 (눈에는 안보이지만)이고, 이 성분때문에 회전을 하는 것이다라고 회전을 해석하기위해서 써논  저항인가요?

    3. 식으로보면 우리가 추가하지 않아도 운전하면 생기는 저항인듯 한데....

    4. 비례추이를 통해 저항이 추가되면 속도를 제어할 수 있되는 것은 알고 있는데.....  그때 추가되는 저항은 우리가 임의로 가변할 수있도록 만들면 되는데.... 이때 이 가변저항과 R 은 근본적으로 다른것인가요?

     

  • 학습관리자 |(2020.07.31 18:22)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유도전동기는 다른 직류전동기나 동기전동기와는 달리 슬립이라는 속도 상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도전동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출력을 발생시킬 때 필요한 저항이 등가회로에서 수식으로 전개됩니다. 하지만 사실은 등가저항이 실제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슬립이란 속도상수가 저항값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실제로 전동기가 기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등가저항은 회전자 권선이 갖는 r2 저항에 대한 크기로 값이 계산된다는 것을 등가저항 수식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권선형 유도전동기는 전동기의 출려기 매우 크기 때문에 전동기 자체의 등가저항만으로는 기동시키기가 곤란한데 다행히도 비례추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권선형 유도전동기만의 특별한 기동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갖기 위해서는 전동기 2차측에 기동을 위한 저항기 또는 속도제어를 위한 저항기를 설치하여 기동전류와 기동토크를 제어하게 되는 것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