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직렬콘덴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필기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정*영 등록일 2020.08.1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선생님 직렬콘덴서 방식은 장점에서 부하역률이 나쁠수록 효과가 크다고 나와있는데

    역률이 나쁠수록 효과가 큰이유가 무엇인가요????

     

    또한 송배전선로의 조상설비는 직렬콘덴서 방식을 사용하고 수전설비에서의 조상설비는 병렬콘덴서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렇게하는 특별한이유가 있나요???

  • 학습관리자 |(2020.08.12 11:24)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직렬콘덴서와 병렬콘덴서는 역할이 전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이유는 직렬콘덴서는 직렬공진 특성을 이용한 것이고 병렬콘덴서는 병렬공진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가지 특성이 같을 수가 없습니다. 결론은 역률개선의 의미는 피상전력을 줄여서 무효전력의 감소에 의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병렬공진이 적당한 역할이 되는 것이고 전압강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인덕턴스의 전압강하는 콘덴서 전압강하로 억제하는 것이 그 역할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역률개선이나 조상설비로 사용되는 것은 직렬콘덴서가 아니라 병렬콘덴서의 역할이 되어야 하며 전압강하를 억제하여 계통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역할은 직렬콘덴서의 역할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직렬콘덴서의 역할 중에 역률이 나쁠수록 효과가 좋다 라는 의미는 일단 직렬콘덴서에 의해서 유도 리액턴스가 보상되어 선로의 길이가 짧아지는 효과를 지니게 되기 때문에 선로에서 일어나는 과도현상의 시정수가 매우 짧아지게 됩니다. 때문에 기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전동기 부하가 있는 경우보다 시동이 빈번하더라도 기동시간이 짧은 전등 부하나 또는 전열기 부하에 매우 적당하다는 것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