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3상 중 한 상의 접속이 끊기는 것을 일반적으로 결상이라는 말로 표현을 하게 되는데 결상이 되면 전원이 3상으로 공급되지 않고 2선으로만 공급이 되기 때문에 결국 전원 공급이 원할해 질 수가 없는 것은 당연하겠죠~?
그렇다면 결상 사고시 어떤 문제점이 생길까요? 바로 유도전동기의 축에 접속된 부하 출력이 100% 나올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그 이유는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줄어들기 때문인데 이 때 전부를 기준으로 하여 50%에 해당하는 부하만 출력으로 나오기 때문에 이를 반부하 운전이란 말로 표현합니다. 결국은 부하가 줄어들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경부하라는 표현으로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찌 되었거나 두가지 표현이 모두 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결상사고는 전동기의 속도의 감소로 부하 출력이 감소하게 되어 나머지에 대한 전기에너지는 전동기 과부하로 열을 동반하게 되어 장시간 결상 운전을 하게 되면 결국은 전동기가 타버리는 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제어반에는 결상계전기를 사용하는 이유가 바로 결상사고시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데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