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순서 9600번에 대한 전자기학 재재재재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필기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신*민 등록일 2020.08.22 답변상태 답변완료
  • 동심구에서 정전용량 구할 때 외부는 고려안한다 하셨는데

    절연구도체 같은 경우에는 왜 바깥을 고려한거죠?ㅠ

    이유랑 증명과정이 궁금합니다

    (파란색으로 체크한 전위부분은 공기 유전율인데 유전체로 둘려쌓여있으니 비유전율을 곱해야 하지 않나요?)

     

  • 학습관리자 |(2020.08.22 15:07)

    안녕하세요~~ 회원님^^

    회원님께서 제시하는 값은 정전용량이 아니라 전위에 대한 공식입니다. 동심구도체 내부 구도체에만 전하가 대전되었다고 할 때 동심구도체 사이와 외부 공간에 전위가 분포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전위가 존재하는 공간이라 해서 그 곳에 항상 정전용량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셔야죠. 정전용량은 전하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 또는 전하가 갇힐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정전용량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평행한 두 도체 사이, 평행도선과 대지사이, 동심원통도체사이, 동심구도체사이와 같은 공간에 정전용량이 존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에 동심구도체가 무한 자유공간이 아닌 대지 위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이 때에는 설명이 달라질 수 있겠죠. 동심구도체와 대지 사이에도 정전용량이 존재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겠지만 동심구도체 외부공간이 무한한 자유공간이라면 정전용량은 구할 수 없음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