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기출교재 173페이지 14번 문제 문의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산업)기사실기 정규이론 종합반 > 김민혁
글쓴이 서*권 등록일 2020.09.27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수전단 전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수전단 전압이란 부하가 달려있는 전압으로 알고 있고, 교재 1권의 2페이지 그림에도 그렇게 그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교재 2의 14번 문제를 보면 수전단 전압 6000V 라고 되어 있어서 문제를 풀때 수전단 전압을 6000V 로 놓고 푼것은 이해가 됩니다..... 그러면 부하가 달려 있는 380V 는 무엇인가요? 

    제 생각은 6000V 이후에 변압기가 하나 있고, 거기서 3상4선식 결선을 통해 380V 를 얻어야 하고, 그러면 송전단은 그 변압기 2차가 되고, 수전단은 부하가 걸려 있는 그 부분이 수전단이 되는 것인듯 한데요.....

    수전단전압 의 정확한 정의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에 대해 "교재대로 푸세요" 라는 성의 없는 대답은 제발 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인강이라 즉시 답을 얻지 못하는 것도 답답한데..... 위의  답변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학습관리자 |(2020.09.28 17:27)

    수험생님 안녕하세요?

    수전단 전압이 반드시 부하가 달려 있는 전압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송전선로에서도 변압기와 변압기 사이에 송전선로가 있다면

    전력을 보내는 변압기 2차측 전압은 송전단전압, 

    전력을 받는 변압기 1차측은 수전단전압이 될 수 있습니다.

    선로의 일정 구간의 전압강하를 구할 때 전력을 보내는 쪽 전압은 송전단전압이고

    전력을 받는 쪽 전압은 수전단전압입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1차측이 6000V, 2차측이 380V인 변압기가 있다고 간주하시면 됩니다.

    변압전 전력을 받는 변압기 1차측이 수전단 전압이 됩니다.

    뼈가 되는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