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얼마 전에 19년도 2회 1번 질문을 했는데 '지락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라면 GPT 2차측 영상전압은 0V입니다'라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돼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2.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올렸는데요 "10년 2회 3번 1시간에 18m3인데 왜 60으로 안나눠주나요? 대부분 펌프용 전동기 문제는 분당이나 초당으로 문제가 많지만 이 문제에서 답도 분으로 나왔는데 의문입니다."
답변을 "분모에 6.12로 계산되는 경우에는 분당 기준이며, 분자에 9.8을 곱하면 초당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셔야 합니다." 라고 해주셨는데 제가 궁금한 부분은 문제에서 '1시간에'라는 말이 나와서 60으로 나눠줘야 하는 부분이 없는지 궁금했습니다. 기존의 문제는 분당으로 나와있는데 이 문제에서 이렇게 나오니 헷갈리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3. 광속발산도나 조도의 경우에 분모에 들어가는 S가 단면적을 의미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휘도의 경우는 분모에 들어가는 S는 어떤 의미인가요? 예를 들면 완전확산성전구라고 문제에 있으면 광속발산도나 조도는 4파이r2이고 휘도는 파이r2인가요?
4.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들의 식을 쓸 때 작은 값을 기준으로 답을 정하는데 식에는 작은 값을 계산한 것만 쓰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전동기합*3+나머지, 간선의 허용전류*2.5 이렇게 두 개 다 적는게 좋을까요?
5. 과년도 10년 2회 9번의 (1) (2)의 답을 보면 소수점으로 표현되고 있지 않은데 이유가 뭔가요? 책에 있는데로 답변해야하나요?
6. 12년 1회 16번에 (3)에 답이 동손이 되려면 주상변압기의 부하 시험방법이면 답이 되나요?
7. 11년도 2회 2번에 답을 6270[V]로 해도 되나요? (발전기나 변압기의 문제에서도 선정 또는 산정이라는 말이 없으면 그대로 답을 해도 괜찮다고 알고 있는데 이것도 가능한가요?)
8. 이 질문 또한 올렸던 질문인데요 "18년 1회 2번에 (3) 동손의 비를 구하는 것에서 델타결선과 V결선시의 전류는 다르지않나요? 변압기 과부하를 무시한다는 부하율을 고려안한다고 배웠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으로 과부하율을 무시한다고 하셨는데 이해가 잘 안가서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전류가 다르다고 생각이 드는데 잘 모르겠네요..
9. 13년 3회 12번에 on과 off 스위치사이에 점선이 꼭 해야하나요?
질문이 너무 많았네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