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1. 교류회로는 항상 위상(일반적으로 각도라 함)과 함께 표현하기 때문에(물론 0도일 때에도 있지만) 직각좌표 형식을 표현하게 됩니다. 하지만 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인 RLC 에서는 유효분과 무효분의 의미로 R은 실수부, LC는 허수부로 표현되기 때문에 직각좌표가 아닌 복소좌표(복소수 평면)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교류회로에서는 복소수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2. 첨예도란 공진주파수의 선택 폭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예를 들면 어떤 특정주파수의 공진점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비공진 영역이 너무 넓다면 공진주파수 선택도는 매우 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넓은 공간에서 보물찾기를 하면 찾기 어렵다 라는 개념과 같은 의미입니다~
3. 안타깝게도 풀이과정이나 해설강의를 별도로 자세하게 정리해 놓은 교재는 시중에는 없습니다~ 대부분 수학적인 해설이기 때문에 책의 저자들이 수학적인 부분은 독자에게 미루는 편이어서 별도의 수학적인 자세한 풀이과정을 찾아보기는 어려우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