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기출 문제 질문 있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 실기 합격패키지(이론+기출+블랙박스) > 이승원
글쓴이 황*웅 등록일 2020.11.2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15개년 기출문제 보고 있습니다. 책에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139쪽 2007년 2회 (1) - 3 문제

    "전동기 운전용 램프 RL과 정지용 램프 GL회로를 구성하시오"

     여기서 왜 MCD가 아닌 MCM으로 회로를 구성하는지 모르겠습니다. MCM이 먼저 여자되니까 기동하는  것이고 설정시간 후에 T가 여자되어 MCD가 작동해서 '운전'하게 되는므로 MCD 보조접점을 이용해 구성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2. 761쪽 2019년 3회 (5)

    "도면의 접지개소의 접지 종별은?"

    이 중 4번은 고압전동기 '외함, 기동기 외함 접지공사는 전부 다 1종'이라고 기출 강의에서 말씀하시고, 책에 답도 그렇게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접지공사의 종류 표에서는 전동기가 제3종 접지공사의 적용개소에 해당하고, 이 문제 외에는 전동기가 나올 때 제3종 접지공사였습니다.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기출 강의로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학습관리자 |(2020.11.23 09:24)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1. 리액터 기동회로에서 기동부터 운전까지 계속 여자상태로 있는 개폐기가 MCM입니다. MCD는 기동이 완료된 후에 운전되는 순간에 여자되는 개폐기인데 기동중일때나 운전중일 때 계속 여자되어 있는 개폐기는 MCM입니다. 따라서 RL은 운전 표시등, GL은 정지 표시등으로 구분되는 것이므로 MCM으로 표시등을 점멸하는 것이 맞습니다. 만약에 기동표시, 운전표시, 정지표시 램프가 3개 있다면 이때에는 기동과 운전을 구별하면 좋겠지만 이렇게 표시등이 두가지로만 구별할 때에는 기동과 운전을 구별하지 않고 기동+운전 하는 개폐기로 점멸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2. 전동기만을 고려해 볼때 전동기의 외함 및 철대의 접지공사는 3가지로 적용합니다. 고압전동기는 1종, 400V미만인 전동기는 3종, 400V이상인 전동기는 특3종 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