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1장 직류발전기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산업)기사 필기 학원직강 정규반 > 이승원
글쓴이 박*섭 등록일 2020.12.16 답변상태 답변완료
  • 1일차 마지막강 (4강) 수업중에

    전기자 반작용에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전기자 반작용의 문제점 3가지 중에 정류악영향이 있는데 발생 원인이 브러시에서 일어나는 섬락때문에 정류코일에 리액턴스전압이 걸리면서 정류악영향이 발생 하는데 주 개선방법으로는 보극설치라고 가르쳐 주셨습니다. 

    보극은 중심축 이동으로 인해 발생한 2@각에 대한 상쇄작용이라고 이해하였습니다. 그런데 2@각의 상쇄작용보다 브러시가 이동하면 정류자편에 섬락이 발생하지 않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질문하였습니다. 그렇게 되면 리액턴스전압도 발생하지 않을것이고 결과적으론 보극설치보다 브러시이동이 정류개선에 더 영향을 주는것이 아닌가 생각 되어서 질문드립니다. 설명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학습관리자 |(2020.12.17 13:59)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전기자반작용과 정류개선 두가지 측면을 모두 생각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전기자반작용으로 인해 중성축의 변형이 생기게 되며 중성축의 변형에 의해 브러시에 접촉되어 있는 정류자편에 리액턴스 전압이 발생하게 되어 정류가 더욱 나빠지게 되는데 리액턴스 전압을 없애는 주요한 대책은 보극입니다. 물론 중성축을 새로운 중성축으로 이동하는 것도 정류 개선 대책으로 포함시키는 것은 맞지만 이것은 리액턴스 전압을 직접적으로 없애기 위한 것 보다는 전기자반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책에 더 중점을 두고 있는 대책으로 보극 설치와는 조금 다른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리액턴스 전압을 억제하거나 줄이기 위한 방법은 보극을 설치하는 것이 주된 방법이라는 것을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정류의 개선책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또는 직접적인 방법 면에서 여러가지 대책중 보극이 가잔 좋은 방법으로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