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축은 kec 규정으로 공사 하겠지만, 기준 공사들은 기존의 규정으로 되있습니다.
첨부 사진의 모터는 콤프레샤 모터 입니다. 친구가 저에게 가정집 단상2선 에서 사용할수있게 콤프레샤를 설치해서 가동해달라하는데요.
모터결선을 3상 220v 해야하는데, 가정집은 단상 220v 이니..... 그렇다가 위상변환기를 찾게 되었습니다.
콤프레샤는 7.5kw인데, 위상변환기 규격에 7.5kw 모델이 있는데, 7.5kw 의 콤프레샤를 돌리려면 위상변환기를 7.5KW가 아닌
15kw를 써야한다네요. 농업용전기라서(단상2선식) 계량기에서 콤프레샤 까지 30M정도 나옵니다.
위상변환기 1차측은 단상2선식이니 배율을 2배로하여 60A차단기,전선 10SQ(허용전류도 보니 60A 정도 되네요) 사용하라네요.
모터의 3상220V 정격전류는 29.7A 하지만 위상변환기 1차측은 7500/220 = 34A 정도 나옵니다. 그럼 차단기를 75A 차단기를 써야하는거아닌가요?
이제 질문 : IEC 규격으로 설계시
1.부하전류 > 차단기정격전류(AT) > 전선의 허용전류 의 상관관계 라고 알고 있는데. 차단기선정시 부하전류에 3배이고, 전선선정시 부하전류1.1배에서 1.25배 이면 차단기 정격전류(AT)가 전선의 허용전류 보다 더 커지지않나요? 그렇면 기동시 전선 괜찮나요?
2. 차단기정격전류(AT)의 3배의 선정은 기동전류 기준 인한 거지만 만약 기동 완료 후 부하의 과전류 흐르면 차단기가 트립 되나요? 그리고 차단기를 3배로 선정해도 기동전류는 이보다 더 큰걸로 알고있는데 왜 기동시 차단기가 트립이 안되나요?
3. 차단기 선정시 AT 용량으로 선정하고 ,AT가 정격전류(용량)인거죠?
4. 간선,분기선 의 차단기, 전선 선정시 같은 공식으로 선정하면 안되나요?
5. 7.5KW 의 콤프레샤를 사용하기 위해 계약전력을 높히면 얼마로 해야하나요?
이론공부 한것을 막상 현장에 대입하려니 어렵습니다. 그냥 생각없이 책에 있는 공식으로 대입하면 선정을 다 할수있지만 , 다 잘못해다간 큰일이 있을까 두렵네요. 



